2025년 4월 2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경제 독립 선언'의 일환으로 새로운 관세정책을 발표했습니다. 이 정책은 모든 수입품에 대해 기본적으로 10%의 관세를 부과하고, 특정 국가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상호주의 관세'를 적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미국 역대 대통령 1~47대 명단
5일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전 세계 대다수 나라의 제품에 10%의 관세가 부과됩니다. 미국에서 생산이 불가능한 특정 필수 광물과 에너지 및 에너지 제품, 이미 관세 25%를 부과한 철강과 알루미늄, 자동차, 의약품 등은 이번 관세 대상에서는 제외되었습니다.
한국을 포함한 미국에 대한 '최악의 침해국'으로 분류된 나라들에 대해서는 9일부터 2단계로 국가별 상호관세(10%+상호관세)를 발효하기로 했습니다.
[KDI 보고서] 미국 상호관세 부과의 글로벌 성장률 영향.pdf
0.93MB
아래는 발표된 국가별 상호주의 관세율을 높은 순서대로 정리한 상위 50개국 국가 목록입니다.
1. 미국이 발표한 상호관세율
순위 | 국가 | 기본관세 (%) |
상호관세 (%) |
1 | 레소토 | 10 | 50 |
2 | 캄보디아 | 10 | 49 |
3 | 라오스 | 10 | 48 |
4 | 마다가스카르 | 10 | 47 |
5 | 베트남 | 10 | 46 |
6 | 미얀마 | 10 | 44 |
" | 스리랑카 | 10 | 44 |
8 | 이라크 | 10 | 39 |
9 | 가이아나 | 10 | 38 |
10 | 방글라데시 | 10 | 37 |
" | 보츠와나 | 10 | 37 |
" | 리히텐슈타인 | 10 | 37 |
13 | 태국 | 10 | 36 |
14 | 보스니아 | 10 | 35 |
15 | 중국 | 10 | 34 |
16 | 대만 | 10 | 32 |
" | 인도네시아 | 10 | 32 |
" | 피지 | 10 | 32 |
" | 앙골라 | 10 | 32 |
20 | 리비아 | 10 | 31 |
" | 스위스 | 10 | 31 |
22 | 알제리 | 10 | 30 |
" | 남아프리카공화국 | 10 | 30 |
24 | 파키스탄 | 10 | 29 |
25 | 필리핀 | 10 | 28 |
26 | 카자흐스탄 | 10 | 27 |
" | 말레이시아 | 10 | 27 |
28 | 인도 | 10 | 26 |
29 | 대한민국 | 10 | 25 |
30 | 일본 | 10 | 24 |
" | 브루나이 | 10 | 24 |
32 | 아르헨티나 | 10 | 23 |
33 | 브라질 | 10 | 22 |
34 | 코트디부아르 | 10 | 21 |
" | 칠레 | 10 | 21 |
36 | 유럽연합 | 10 | 20 |
" | 페루 | 10 | 20 |
" | 요르단 | 10 | 20 |
39 | 노르웨이 | 10 | 19 |
40 | 싱가포르 | 10 | 18 |
41 | 이스라엘 | 10 | 17 |
" | 말라위 | 10 | 17 |
43 | 아이슬란드 | 10 | 16 |
44 | 호주 | 10 | 15 |
" | 뉴질랜드 | 10 | 15 |
46 | 세르비아 | 10 | 14 |
47 | 적도 기니 | 10 | 13 |
" | 차드 | 10 | 13 |
49 | 카메룬 | 10 | 11 |
" | 콩고민주공화국 | 10 | 11 |
미국 47대 대통령 트럼프 프로필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