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2025년 4월 16일(수)부터 4월 30일(수)까지 반려견 및 반려묘를 대상으로 광견병 예방접종을 지원합니다. 이 사업은 인수공통감염병인 광견병의 예방을 위한 것으로, 지정된 동물병원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백신을 접종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1. 광견병 예방접종
1. 접종 개요
- 기간: 2025년 4월 16일(수) ~ 4월 30일(수)
- 대상: 생후 3개월 이상 반려견(동물등록 필수) 및 반려묘
- 비용: 10,000원 (백신 약품은 무료 제공)
- 백신: 광견병 사독백신 (예: Nobivac Rabies)
- 장소: 각 자치구별 지정 동물병원
광견병은 사람에게도 치명적인 바이러스성 질병으로, 물리거나 할퀴는 경우 감염 위험이 있습니다. 정기적인 예방접종은 반려동물뿐 아니라 시민 모두의 안전을 위한 필수 조치입니다.
서울 25개 자치구 반려견 놀이터
2. 접종 전 준비사항
- 반려견은 동물등록이 완료되어 있어야 접종 가능
- 반려묘는 등록 여부와 상관없이 접종 가능
- 방문 전, 지정 동물병원 백신 재고를 반드시 확인
- 기초 건강 상태 확인: 발열, 감기 증상 시 접종 연기 필요
2. 접종 병원 확인 방법
서울시 각 자치구청 홈페이지 또는 해당 구청 보건소에서 '2025 광견병 예방접종 지정 동물병원 리스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강동구는 54개, 은평구는 38개 지정 병원이 운영 중입니다.
서울시 우리동네동물병원 명단
1. 서울시 및 25개 자치구별 문의처
접종 일정이나 지정 병원, 준비물 등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각 구청 또는 보건소 담당 부서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서울시 동물보호과: 02-2133-7645
- 강남구 보건소: 02-3423-7177
- 강동구 지역경제과: 02-3425-5853
- 강서구 보건행정과: 02-2600-5804
- 관악구 보건위생과: 02-879-7134
- 광진구 보건소: 02-450-1965
- 구로구 지역경제과: 02-860-3386
- 금천구 보건위생과: 02-2627-2633
- 노원구 보건소: 02-2116-4342
- 도봉구 보건소: 02-2091-4481
- 동대문구 보건위생과: 02-2127-4341
- 동작구 보건행정과: 02-820-9490
- 마포구 보건소: 02-3153-9050
- 서대문구 보건위생과: 02-330-1817
- 서초구 보건위생과: 02-2155-8072
- 성동구 보건소: 02-2286-7161
- 성북구 보건소: 02-2241-6043
- 송파구 보건위생과: 02-2147-3470
- 양천구 보건소: 02-2620-3845
- 영등포구 보건행정과: 02-2670-4847
- 용산구 보건행정과: 02-2199-8383
- 은평구 보건위생과: 02-351-8172
- 종로구 보건소: 02-2148-3524
- 중구 보건소: 02-3396-7592
- 중랑구 보건소: 02-2094-0651
광견병은 100% 예방 가능한 질병입니다. 서울시의 이번 지원 사업을 통해 보다 안전하고 건강한 반려 생활을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접종비 일부가 지원되는 만큼, 기간 내 지정 병원을 찾아 꼭 예방접종을 완료해 주세요.
그리드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 타임지 선정 100인 명단] 2025년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0) | 2025.04.17 |
---|---|
[넷플릭스 요금제] 광고형 스탠다드 프리미엄 가격 비교 및 할인 방법(카드) (0) | 2025.04.13 |
[2025년 제약회사 신입사원 초봉 순위] 1위 삼성바이오에피스 2위 유한양행 順 (0) | 2025.04.12 |
[아파트 관리비 자동납부 신청방법] 카드사별 10곳 비교 및 자주 묻는 질문 FAQ (0) | 2025.04.11 |
[아파트 관리비 할인카드] 전월 실적 없어도 혜택 받는 카드 추천 BEST 3 (0) | 2025.04.11 |
[2025년 전기차 판매 TOP 10 순위] 1위 'EV3' 2위 '테슬라 모델Y' 등 가격대 (0) | 2025.04.09 |
[추천] 자동차 다이렉트 보험 가입시 주의사항 및 체크리스트 총정리 (0) | 2025.04.08 |
[인천 드림포청년통장] 지원자격 소득기준 및 월15만원 3년납에 '1080만원'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