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 연봉 순위 어떻게 될까? 2등 '안과' 3등 '정형외과' 1등은?
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의사 연봉 순위 어떻게 될까? 2등 '안과' 3등 '정형외과' 1등은?

by 인포맨119 2023. 10. 15.

의사연봉-순위
의사 연봉 순위

의사 연봉 순위 어떻게 될까? 2등 '안과' 3등 '정형외과' 1등은?

의대 광풍이 불고 있습니다. 8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전교 1, 2등은 의대보다 서울대 물리학과에 지원할만큼 이공계에 대한 인기가 높았지만 최근에는 의대 광풍이라고 불러도 부족할만큼 수험생들의 의대 선호도는 뚜렷합니다. 사회가 불안해지니 라이센스를 가지고 있는 전문직에 대한 열망이 강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의대에 대한 인기가 하늘을 치솟는 이때에 의사들의 연봉 수준은 어느 정도나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자료는 2022년에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했습니다. 

 

 

 

서울대 의과대학 교과편성표 확인해보세요.

2023교과과정_전체편성표.pdf
0.06MB

 

 

1. 진료과목별 의사 연봉 순위

▼핸드폰에서 이미지를 터치 후 드래그하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의사연봉-순위
의사연봉 순위<캡처=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년 기준으로 의원급 표시과목별 근무 의사 연평균 임금은 흉부외과가 4억8,799만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안과가 4억5,836만원, 정형외과 4억284만원, 재활의학과 3억7,933만원, 신경외과 3억7,646만원, 마취통증의학과 3억4,431만원, 영상의학과 3억1,864만원 순입니다.

 

가장 낮은과는 소아청소년과로 1억875만원이었습니다. 이어서 가정의학과 1억4,972만원, 결핵과 1억5,247만원, 이비인후과 1억6,929만원, 일반의진료과 1억9,555만원입니다.

 

소아청소년과의 경우 유일하게 2015년 소득보다 1,914만원이 줄었습니다. 

 

 

 

2010년~2020년 연평균임금증가율은 소아청소년과를 제외한 모든 진료과목이 증가했습니다.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진료과목은 흉부외과입니다. 10년간 11.7% 증가했고, 재활의학과는 9.9%, 마취통증의학과는 8.9%, 신경외과는 9.0% 순으로 증가했습니다.

 

▶치과의사 연봉은 얼마나 될까

 

2. 병원 규모별 의사 평균임금

▼핸드폰 화면에서 이미지 터치 후 드래그하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병원-규모별-의사연봉
요양기관 종별 근무 의사 연평균 임금<캡처=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병원 규모별 임금 수준을 살펴보면 병원에 근무하는 의사의 연평균 임금이 가장 높았습니다. 상대적으로 보건소 및 보건기관에서 근무하는 의사의 연평균 임금이 가장 낮게 나타났습니다. 

 

병상 규모로 구분해 보면 병상이 있는 의원에서 근무하는 의사의 연평균 임금이 3억4,93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30~99병상 병원이 3억4,364만원, 100병상 이상 병원 3억917만원 순이었습니다. 

 

1. 의원 : 1차 의료기관(의원, 치과의원, 한의원)

  • 전문의사와 일반의사가 개원할 수 있지만 병원 명칭 표기에 차이가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전문의사가 하는 병원의 경우 진료과목으로 병원 간판을 달 수 있습니다.(ooo내과의원, ooo피부과의원)
  • 일반의가 하는 변원은 진료과목을 별도로 표기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ooo의원(진료과: 내과, 이비인후과)은 일반의사라는 뜻입니다.

 

2. 병원: 2차 의료기관(치과병원, 요양병원, 정신병원, 한방병원, 종합병원)

  • 3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추고 주로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진료를 보는 병원입니다. 
  • 전문병원은 병원급 의료기관 중 특정 질환이나 진료과목의 난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하는 병원입니다.
  • 병원이 신청하면 보건복지부에서 평가를 통해 심사를 하고 3년마다 지정을 합니다.(예, ooo관절전문병원)

 

3. 종합병원 : 2차 의료기관

  • 100개 이상의 병상을 갖추고 7개 또는 9개 이상의 진료과목과 각 진료과목에 전속하는 전문의를 두고 있는 의료기관입니다.

 

4. 상급종합병원 : 3차 의료기관

  • 종합병원 중에서 중증질환에 대해 난도가 높은 의료행위를 전문적으로 하는 종합병원입니다. 의료법에 의해 보건복지부장관이 지정합니다.
  • 500인 이상의 병상 수를 갖추어야 합니다. 또한 모든 진료과목에 전문의를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 상급종합병원에서의 진료를 원한다면 병원이나 종합병원의 의사 진료소견이 적인 진료의뢰서가 꼭 필요합니다.

 

3. 의사 직역별 연봉 수준

▼핸드폰에서 이미지 터치 후 드래그하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직역별-의사연봉
직역별 의사연봉 <캡처=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년 일반의의 연평균 임금은 1억 4,230만원입니다. 전문의는 2억 3,689만원이고, 레지던트는 7,290만원, 인턴은 6,882만원입니다. 

 

2020년 기준 레지던트의 연평균 임금은 전문의의 30.8%이며, 인턴의 연평균 임금은 일반의의 29.8% 수준입니다. 

 

 

 

서울대 의대 학생들은 무슨 과목을 배우는지

교과 편성표를 확인해보세요.

2023교과과정_전체편성표.pdf
0.06MB

 

▼2024학년도 의대·치대·한의대·약대 정시 합격선

의대·치대·한의·약대 정시 합격선 

 

2025 정시 수학·탐구 대학별 지정

2025학년도 정시모집 수학 과학 선택과목 지정현황

4. 지역별 의사 연봉 수준

▼핸드폰 화면에서 이미지 터치 후 드래그하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지역별-의사연봉-수준
지역별 의사연봉 수준 <캡처=한국보건사회연구원>

 

지역별 의사 임금을 살펴보면 서울과 대전 지역 의사의 평균 임금은 낮은 반면, 세종, 울산, 충북, 전남, 경북, 경남 지역 의사의 임금은 상대적으로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서울 지역의 요양기관에 근무하는 의사의 연평균 임금은 2억1,532만원으로 17개 시도 중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반면 울산의 경우 2억6,290만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서울, 대전, 부산, 대구, 인천, 경기 등 대도시 지역보다 전남, 경북, 경남, 충북, 충남 지역의 임금 수준이 높습니다.

 

2010년~2020년 사이 의사 임금의 연평균 증가율을 보이는 지역은 세종시로 7.3%의 증가율을 보였습니다. 경북은 6.1%, 전남은 6.0%, 울산 5.7%, 충북 5.7%의 증가율을 나타냈습니다.

 

 

 

 

의사연봉-순위의사연봉-순위의사연봉-순위
의사연봉-순위의사연봉-순위의사연봉-순위
의사연봉-순위의사연봉-순위의사연봉-순위
의사연봉-순위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