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근로장려금 제도에서 맞벌이 부부는 단독·홑벌이 가구와는 구분된 기준으로 최대 33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총급여액에 따라 지급액이 단계적으로 줄어드는 구조를 갖고 있어 자신의 소득 구간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총급여액이 1,700만 원일 경우 최대 330만 원을 수령할 수 있지만, 4,400만 원 이상일 경우 지급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맞벌이 부부 근로장려금의 소득 구간별 지급액을 표로 정리해 자세히 안내드립니다.
1. 총급여액별 지급액
총소득 구간 | 지급액 |
---|---|
1,700만원 | 330만원 |
1,800만원 | 317만원 |
1,900만원 | 305만원 |
2,000만원 | 293만원 |
2,100만원 | 281만원 |
2,200만원 | 268만원 |
2,300만원 | 256만원 |
2,400만원 | 244만원 |
2,500만원 | 232만원 |
2,600만원 | 220만원 |
2,700만원 | 207만원 |
2,800만원 | 195만원 |
2,900만원 | 183만원 |
3,000만원 | 171만원 |
3,100만원 | 158만원 |
3,200만원 | 146만원 |
3,300만원 | 134만원 |
3,400만원 | 122만원 |
3,500만원 | 110만원 |
3,600만원 | 97만원 |
3,700만원 | 85만원 |
3,800만원 | 73만원 |
3,900만원 | 61만원 |
4,000만원 | 48만원 |
4,100만원 | 36만원 |
4,200만원 | 24만원 |
4,300만원 | 12만원 |
4,400만원 | 0만원 |
근로장려금은 저소득 맞벌이 가정에게 실질적인 현금 지원을 제공하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특히 2025년에는 최대 330만 원까지 지원 가능하며, 총급여액에 따라 세부 지급액이 조정됩니다. 지급액은 소득이 늘어날수록 점차 줄어들기 때문에, 본인의 총급여 구간을 정확히 파악하고 신청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핵심입니다.
근로장려금은 단순한 보조금이 아닌, 근로 의욕을 북돋우는 정책입니다. 정해진 기간 내에 꼭 신청하시고, 정부 지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해보시길 바랍니다.
그리드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전 에너지캐시백 FAQ]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및 신청방법 (0) | 2025.05.03 |
---|---|
[2025 청년내일저축계좌 가입 소득기준] 신청 일정 자격 및 만기 수령액 (0) | 2025.05.02 |
[스쿨존 속도위반 과태료 벌점 범위] 운전자가 꼭 알아야 할 법규 안내 (0) | 2025.05.02 |
[21대 대선 개표 참관인 신청방법] 신청자격 및 유의사항 총정리 (0) | 2025.05.01 |
[2025 맞벌이 부부 근로장려금 지급기준] 총소득별 지급액 총정리 (0) | 2025.05.01 |
[2025 근로장려금 지급일 및 지급액] 정기신청 기간과 신청방법 (0) | 2025.05.01 |
[반려동물 영양제 안전실태조사 결과] 기능성 원료 함량 부족 및 부당광고 (0) | 2025.05.01 |
[변호사 시험 합격률] 1회~14회까지 회차별 합격률 및 합격 점수 (0) | 2025.04.30 |